안녕하세요. 인싸이롭(INSIGHTOF) 컨설팅의 박단열입니다. 인싸이롭은 2016년부터 700개 이상의 BPOM 인증 및 의료기기 인허가를 진행해 왔습니다. 인도네시아 규정에 부합하는 제품은 반드시 등록 완료해 드립니다.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이제 필수! 우리 제품도 해당될까?
2021년 종교부 장관령 완벽 분석
“우리 제품도 할랄 인증 받아야 하나요?”
최근 화장품·식품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수출 상담이 늘면서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특히 무슬림 인구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도네시아는 할랄(Halal) 인증 여부가 제품 판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그 중에서도 2021년 인도네시아 종교부 장관령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규정입니다.
오늘은 이 장관령의 내용을 정확히 정리하고, 실제로 어떤 제품이 인증 대상인지, 기업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안내해 드립니다.
INSIGHTOF 컨설팅은?
✔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부터 BPOM 등록, 보건부(MoH) 등록까지 원스톱 지원
✔ 현지대리인(RP, CRO) 서비스 진행
✔ 화장품·식품·의료기기·생활용품 등 제품군별 할랄 인증 컨설팅 진행 중
1. 인도네시아 종교부 장관령: 왜 중요한가요?
2021년 인도네시아 종교부 장관령은 할랄 인증이 필요한 제품 및 서비스의 범위를 명확히 지정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 규정을 포괄적으로 명시한 규정 발표는 많지 않습니다. 부분적인 보완 사항은 수시로 발표함)
기존 2020년 장관령 464호가 폐지되며, 보다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기준이 새롭게 마련된 것입니다.
본 장관령은 다음 세 가지 법률을 근거로 하고 있습니다:
- 2014년 제33호: 할랄 제품 보증에 관한 법률
- 2020년 제11호: 일자리 창출법
- 2021년 제39호: 할랄 보증 시행 정부 규정
✅ 이 장관령은 인도네시아 내 할랄 인증 의무화 일정과 대상을 법적으로 확정합니다.

인도네시아 할랄청(BPJPJH) 및 할랄 로고 (출처: BPJPH)
2. 어떤 제품/서비스가 할랄 인증 대상인가요?
제품만 HALAL 인증을 받은 것으로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만,
아래 제품 및 서비스 유형은 할랄 인증 의무 대상입니다 (장관령 제5조 기준):
✅ 제품 유형 (Products)
- 식품 (Food)
- 음료 (Drink)
- 의약품 (Drug)
- 화장품 (Cosmetics)
- 화학제품 (Chemical Products)
- 생물학적 제품 (Biological Products)
- 유전자 변형 제품 (Genetically Engineered Products)
- 사용 물품 (Use Goods)
✔ 특히 수입품인 ‘한국산’ 화장품과 식품은 2026년 10월 17일부터 할랄 인증이 의무화됩니다.
✅ 서비스 유형 (Services)
- 도축 서비스 (Slaughtering)
- 가공 서비스 (Processing)
- 보관 서비스 (Storage)
- 포장 서비스 (Packaging)
- 유통 서비스 (Distribution)
- 판매 서비스 (Sales)
- 제공 서비스 (Presentation)
3. 누가 이 장관령의 영향을 받나요?
할랄 인증기관(BPJPH)부터 일반 소비자까지.
구분 | 주요 역할 |
할랄 제품 보증기관 (BPJPH) | 인증 대상 판정, 인증서 발급 |
인도네시아 울라마협의회 | 할랄 기준 및 Fatwa 발행 |
할랄 검사기관 (LPPOM 등)LPPOM MUI, SCOFINDO, SURVEYOR, HIDAYATULLAH | 제품 검사 및 검증 |
사업자 (기업) | 제품 등록, 비용 납부, 인증 신청 |
일반 소비자 | 할랄 표시 제품을 신뢰 기반으로 선택 |
4. 장관령 리스트에 없거나 새롭게 출시된 제품은?
장관령 첨부 목록에 없는 제품도 할랄 인증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이 경우 BPJPH가 관련 부처 및 울라마협의회(MUI, Majelis Ulama Indonesia)와 협의해 새로운 유형으로 등록하게 됩니다.
이후 해당 제품은 목록에 정식 등재되어 법적 효력이 발생합니다.
5. 기존 규정과 달라진 점
- 대상 품목이 확대되고, 제품 외 서비스 영역까지 포괄되었습니다.
- 2020년 장관령 464호는 본 규정 시행과 동시에 폐지됩니다.
- 유예기간은 장관령 발효 후 6개월이며, 이후 효력이 발생합니다.





6. 결론: 할랄 인증, 이제 선택 아닌 필수입니다
인도네시아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이라면 지금부터 할랄 인증 전략을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화장품, 식품, 의약품 등은 이미 대다수 유통사 및 소비자가 할랄 인증 유무를 기준으로 제품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 할랄 인증은 단지 ‘규정 준수’의 문제가 아니라, 시장 신뢰와 매출로 연결되는 중요한 경쟁력입니다.
✔ INSIGHTOF의 제안
- 제품군별 할랄 인증 필요 여부 사전 분석
- 한국에서 발급된 인증서로 인도네시아 교차 등록(MRA) 진행 (중소기업에 추천)
- 인도네시아 BPJPH 할랄 인증 진행 (수출량이 많은 기업에 추천)
- BPOM 등록, PSB 유통 허가, 라벨 교정 등 동시 진행
- 인도네시아 현지 대리인(RP) 및 유통사 매칭까지 원스톱 지원
할랄 인증, 혼자서 준비하시기 막막하셨다면 지금 바로 문의 주세요.
인도네시아 수출의 시작은 인허가입니다.
사업의 본질에 집중하세요. 인증은 인싸이롭이 책임지겠습니다.

🌐 공식 홈페이지: www.insightof.co.id
#인도네시아 #할랄인증 #종교부장관령 #BPJPH #화장품할랄 #식품할랄 #의약품할랄 #할랄제품보증기관 #MRA #교차인증 #할랄의무화 #인도네시아수출 #K뷰티인도네시아 #인싸이롭 #해외인증 #BPOM등록 #유통허가 #인도네시아할랄 #KTC #BPJPH #Hidayatullah

인싸이롭은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는 모든 한국 기업을 응원합니다.
인증 관련 정보를 블로그에 계속 올리고 있으니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